로그인 후에 나노분야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Nanoin 뉴스레터 제386호]
◆ IBS "3D 분석 알고리즘 개발…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변화 관찰"
- (IBS) 박정원, (호주-모나쉬대) 및 (미국-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볼 수 있는 알고리즘 ‘3D 싱글’ 개발해
- 반도체 공정 분야, 품질 관리 분야, 생체분석, 분자의 구조 분석 분야, 반도체 소재나 바이러스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이 핵심
- 원자 수준까지 관찰 가능한 전자현미경이 주로 사용
- 시료를 급격히 냉동시키는 초저온 전자현미경은 동결된 시료에서 얻은 이미지만 처리할 수 있다는 한계
- 연구팀, 시료를 얼리지 않고 높은 에너지로 가속된 전자를 시료에 쪼여 시료 내부 구조까지 영상화할 수 있는 투과전자현미경 기술을 이용해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
- 나노 입자의 원자 배열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기술에 이번에 개발한 3D 싱글 알고리즘을 적용, 관찰 성능 높여
‣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 나노 입자를 그래핀으로 만든 특수 용기(액체 셀)에 담은 뒤 액체 셀 안에서 회전하는 나노입자를 초당 400장의 속도로 촬영하는 기술
- 기존보다 3차원 구조 분석 속도가 10배 이상 빠르며, 관찰 가능한 크기도 기존 0.02㎚에서 0.1㎚ 수준까지 정밀도를 두 배 이상 높여
- 연구결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
100억분의 1m 크기 나노입자 원자 수준에서 분석한다
IBS "3D 분석 알고리즘 개발…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변화 관찰"
◆ 이차원 알루미늄을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체 개발
- (NRF-연세대) 심우영 교수연구팀, 소음을 막기 위해 스튜디오에 설치되는 흡음재와 비슷한 원리를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체 개발
‣ 고성능 전자기기 : 의도치 않게 주변기기에 전자기간섭(Electromagnetic Inteference)을 유발, 이에 금속처럼 전기전도도가 높은 차폐재를 이용해 전자기파 차단
- 다만 금속은 차폐율이 높은 만큼 반사율도 높아 전자기파 재방사가 일어날 수 있다는 아쉬움 존재
- 연구팀, 전자기파를 잘 흡수하는 알루미늄을 아주 얇은 박편으로 제작, 흡수율은 유지하고 반사율은 낮춘 흡수체를 개발
- 리튬과 알루미늄으로 된 화합물을 이용, 이차원 알루미늄을 제작
- 그 화합물을 크기에 따라 정렬한 후, 무수히 많은 계면을 가진 수 십 마이크로미터 두께 필름 형태의 무반사 흡수체를 설계
- 실제 제안한 전자기파 흡수체의 흡수효율/반사효율 비율이 기존 경향성 대비 1,000배 이상 높게 나타나
- 연구 결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게재
빛 반사되지 않는 나방 눈 모사, 전자기파 무반사 흡수체 구현 전략 제시
◆ 피부 땀 발생량 뛰어넘는 ‘고발습 피부 부착 유연 소재’ 개발
- (KAIST) 조영호 교수연구팀,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의 양을 뛰어넘는 발습(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효과를 가진 다공성 폴리머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을 개발
- 새로 개발한 고발습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 기술, 폴리머 소재 내에 미세공극(구멍)을 균일하게 형성해 높은 수분 투과도를 가지도록 한 것
- 유연 소재 표면에 피부의 생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제작할 수 있어 상시 착용이 가능한 피부부착형 패치 개발 가능
- 개발한 다공성 폴리머 유연 소재, 기존 대비 공극 크기를 약 15분의 1로 줄이고, 크기 균일도를 2배로 증가시켰으며, 스핀 코팅을 통해 21~300마이크로미터(μm) 두께의 얇은 막 형성 가능
- 연구결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
KAIST, 피부 땀 발생량을 뛰어넘는 고발습 피부 부착 유연 소재 개발
◆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R&D 과제 공고
- 산업통상자원부는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올해 신규 연구개발(R&D) 지원과제 1차 공고(2020년 1월 31일)
- 1차 과제는 총 181개로 구성
▲ 글로벌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 강화 91개(1천5억원)
▲ 탄소 중립 등 소부장 친환경화 60개(608억원)
▲ 신재생에너지 소부장 국산화 24개(242억원)
▲ 방산 소부장 국산화 6개(94억원)
- 이번 사업을 통해 반도체 첨단 패키징용(PLP) 본딩·몰딩의 시장 점유율을 국내 70%, 해외 40%로 키울 계획
- OLED용 클러스터 스퍼터 장비의 국내 자급률을 30%로 높인다는 계획
- 소부장 친환경화 과제, 현재 전량 수입하는 바이오매스 기반 미래차용 친환경 타이어, 저전력 소비 잉크 소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나프타 대체 원료 등의 기술 개발
- 소부장 국산화 위해 수소충전기용 압축기 및 핵심부품, 태양광 생산효율 향상용 대면적 태양광 핵심 소재·부품 등의 기술 개발 추진
- 산업부는 다음 달 1일부터 3월 4일까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https://itech.keit.re.kr)에서 기술개발 지원과제에 대한 사업계획서를 접수할 계획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R&D 과제 공고…1950억원 지원
공급망 강화·친환경화·국산화 등 181개 과제 추진
기술개발 지원과제 사업계획서 접수
나노 소재 기업
부강테크
정일호 대표
나노 장비·기기 기업
나노인텍(주)
박영식 대표
주요제품
전체별점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별점등록
별점을 등록하시겠습니까?
게시글 추천
게시물을 추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입니다.로그인하시겠습니까?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